같은 내용을 여러 언어로 블로깅하는 게 글로벌 마케팅에 도움이 될 지를 생각해 보았는데, 다국어 블로깅은 단순히 여러 언어로 글을 쓰는 것 이상으로, 정말 많은 장점이 있는 것 같습니다.
글로벌 마케팅에서 다국어 블로그의 장점
1. 검색 엔진 최적화(SEO) 향상
다국어 콘텐츠는 특정 언어권에서 검색될 확률을 높여줍니다. 이렇게 되면 다양한 국가에서 더 많은 유입을 기대할 수 있죠.
가령, 만약 영어와 한국어로 블로그를 운영한다면, 각각의 언어로 따로 최적화된 콘텐츠가 있으니 두 언어권의 사용자 모두에게 잡힐 확률이 높아지겠지요.
2. 더 넓은 사용자층 확보
단순히 영어로만 제공하는 것보다, 다양한 언어로 콘텐츠를 제공하면 더 많은 사람들이 쉽게 이해하고 접할 수 있을 겁니다.
예를 들어, 일본어 사용자도 일본어로 된 블로그를 보고 나서 친구와 공유하려고 할 것이고, 이는 자연스럽게 우리 블로그에 더 많은 광범위한 유저를 가져다줄 수 있습니다.
3. 신뢰도 상승
현지 언어로 제공되는 콘텐츠는 방문자에게 신뢰감을 주고, 이는 브랜드 인지도 상승에도 크게 도움이 됩니다. 누군가가 우리 브랜드에 대해 글을 읽었을 때, 그 언어로 쓰여진 콘텐츠를 읽으면 훨씬 더 친숙할테니까요.
4. SNS 및 커뮤니티 공유 증가
다국어 블로그는 여러 국가에서 공유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예를 들어, 비즈니스 관련 블로그 글이 한국어로 되어있다면, 한국에서만 사람들이 보기 때문에 검색을 통한 방문자 수가 제한적이지만, 일본어 및 영어로도 글을 게시하면, 일본어나 영어를 구사하는 친구들이 이를 공유하여 더 널리 퍼지게 될 수 있습니다.
5. 현지 광고 및 협업 기회 증가
특정 국가에서 인기를 끌게 되면, 현지 기업과 제휴하거나 광고의 수익을 극대화하는 것도 가능하겠네요.
예를 들어, 일본어 블로그가 인기를 끌면 현지의 유명 기업과 협력하여 더 나은 컨텐츠를 제공하거나 이벤트를 할 수 있을 거예요.
효과적인 다국어 블로깅 전략
1. 우선순위 정하기
우선, 타겟 국가를 정하고 해당 시장에서 인기 있는 언어부터 번역하는 것이 효과적이에요.
예를 들어, 한국, 일본, 미국, 동남아시아를 목표로 한다면, 한국어, 일본어, 영어, 베트남어 순서로 번역하는 것이 효율적일 수 있어요.
베트남과 인도 중 하나를 선택한다면, 인구수로는 인도가 14억명으로 많지만 영어 사용자가 많아, 상대적으로 전자상거래와 온라인 광고 시장이 빠르게 성장 중이고 한국 문화 인기가 많은 반면 영어 사용률이 낮아 베트남어를 준비하는 것이 좋은 모양입니다.
동남아를 벗어나면, 영어, 프랑스어, 스페인어를 생각할 수 있는데, 영어야 말 할 것도 없고, 프랑스어와 스페인어를 생각할 때에는 스페인어가 전 세계 약 5억명 이상이 사용하고 있어 영어 다음으로 인터넷에서 많이 사용되는 언어 중 하나라고 하니 참고하세요.
2025년 3월 현재, COOSS.NET 에서는 영어, 스페인어, 중국어, 일본어, 베트남어로 번역하고 있습니다.
2. 자동 번역 + 인간 번역 조합 활용
DeepL, Google Translate 등을 사용해 초안을 번역한 후 가능한 경우, 현지인이 검수하면 좋겠지요.
개인적인 의견이지만, 요즘은 인공지능 번역이 더 좋아 보여, COOSS.NET에서는 인공지능을 사용한 번역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3. hreflang 태그 활용
WordPress 사용 시, 다국어 SEO 최적화를 위해 hreflang 태그를 설정하면 검색엔진이 올바르게 인식하도록 도와줍니다. 이 hreflang 태그는 언어 및 지역별 맞춤 SEO에 도움이 되는 것이지요.
4. SNS와 연계하여 노출 극대화
각 언어별 블로그를 SNS와 연결해 글로벌 유저들의 참여를 유도를 생각해 볼 수 있겠습니다.
공유할 수 있는 콘텐츠가 많아질수록 홍보 효과도 더욱 커질 거예요.
추천 플랫폼 & 플러그인
- WordPress 플러그인: WPML, Polylang, GTranslate (다국어 블로그 운영),
- 자동 번역 도구: DeepL, Google Translate API
- ChatGPT와 같은 인공지능 API
- SEO 최적화: Rank Math, Yoast SEO (hreflang 설정 지원)
번역 방식 비교
다국어 블로깅을 한다고 할 때, 도구에 따라 어떤 형태로 번역된 내용을 제공할 것인지도 결정해야 합니다.
별도로 번역된 콘텐츠를 운영할 수도 있겠고, 페이지가 보여질 때 현지 언어로 번역되어 표시되기만 하는 방식도 있습니다.
1. 별도의 포스트로 번역하여 게시 (언어별로 별도의 페이지를 생성하여 저장)
워드프레스에서 사용하는 번역 플러그인 WPML 과 Polylang 이 여기에 해당합니다.
– 장점:
- SEO 최적화에 유리함: 언어별 고유한 URL로 검색엔진에서 개별적으로 색인됨.
- 현지화 가능: 특정 국가나 문화에 맞춘 맞춤형 콘텐츠 제공.
- SNS 및 외부 링크 공유 용이.
– 단점:
- 운영 및 유지보수 부담.
- 초기 구축 비용 증가.
2. 실시간 번역으로 표시
워드프레스에서 사용하는 번역 플러그인 GTranslate (무료버전) 가 여기에 해당합니다.
– 장점:
- 빠르고 쉬운 설정.
- 비용 절감.
- 방문자 경험 개선.
– 단점:
- SEO에 불리함: 번역된 페이지가 검색엔진에 색인되지 않음.
- 다만, GTranslate 유료버전은 번역 페이지를 저장하지는 않지만, 번역된 상태의 페이지를 검색엔진에 인덱싱 되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 별도의 포스트로 저장하는 것은 아니어서, 번역 품질 관리는 할 수 없습니다.
- 번역 품질 저하 가능성.
– 광고 및 링크 공유에 불리함. - 요즘에는 브라우저에서 번역기능을 제공하고 있어, 실시간 번역방식이 굳이 필요할까 라는 의문이 있습니다.
어떤 방식을 선택해야 할까?
SEO 및 글로벌 마케팅이 중요하다면 별도의 포스트 번역 방식이 좋은 것 같습니다.
반면 빠르게 다국어 지원이 필요하고 SEO를 크게 고려하지 않는다면 GTranslate 와 같이 실시간 번역도 유용할 수 있습니다. 이런 전략으로 초기에는 GTranslate를 이용해 접근성을 확보하고, 나중에는 독립적인 다국어 포스트를 운영하는 것을 고려하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COOSS.NET 에서는 WPML 에 인공지능 번역을 접목하여 언어별 페이지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다국어 블로깅] : 여러 언어로 같은 내용을 블로그에 게시하여 글로벌 시장에 접근하는 마케팅 전략.
[SEO] : 검색 엔진 최적화로, 웹사이트나 블로그의 검색 순위를 높이기 위한 기술과 전략.
[현지화] : 특정 시장 또는 문화를 반영하여 콘텐츠를 수정하여 사용자에게 친숙하도록 만드는 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