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EO 관련된 글을 읽어보면, 같은 주제의 글이 꾸준히 작성될 때 검색엔진 상위노출에 유리하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검색엔진은 다주제 블로그를 싫어하는지가 궁금합니다.
정확한 것은 검색엔진 개발자에게 물어봐야겠지만, 여러 알려진 정보들을 조합하여 정리해 봅니다.
주제 수 보다는 콘텐츠의 질
검색엔진(특히 Google)의 평가는 사이트의 주제 수보다는 콘텐츠의 질과 사용자 경험을 더 중요하게 본다고 합니다. 다만, 여러 주제를 다루는 사이트와 한 가지 주제를 다루는 사이트에는 각각 장단점이 있습니다.
여러 주제를 다루는 경우 (Multi-topic Site)
장점
- 다양한 트래픽 소스를 확보할 수 있음
- 여러 관심사를 가진 방문자를 유입할 수 있음
- 특정 주제가 인기가 떨어져도 다른 주제로 트래픽을 유지 가능
단점
- 사이트의 전문성이 낮아 보일 수 있음
- 특정 주제에 대한 검색 엔진의 신뢰도를 높이기 어려움
- 내부 링크 및 사이트 구조 최적화가 더 어려움
한 가지 주제를 다루는 경우 (Niche Site)
장점
- 검색엔진이 해당 사이트를 특정 분야의 전문가 사이트로 인식할 가능성이 높음
- 관련 키워드에 대한 랭킹을 높이기 쉬움
- 타겟 사용자의 관심이 집중되어 충성도 높은 방문자를 확보하기 쉬움
단점
- 트래픽이 특정 주제에 의존하여 변화가 클 수 있음
- 성장 가능성이 제한적일 수 있음
검색엔진 평가 및 SEO 관점
Google은 E-E-A-T(Experience, Expertise, Authoritativeness, Trustworthiness)를 중시합니다.
즉, 여러 주제를 다루더라도 품질 높은 콘텐츠를 제공하고 신뢰성을 구축하면 검색엔진 평가가 나빠지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아래 내용을 참고하여 적용하는 것이 도움이 되겠습니다..
카테고리 및 사이트 구조를 명확하게 설정
- 서로 연관된 주제별로 카테고리를 나누고, 내부 링크를 최적화하여 사용자와 검색엔진이 쉽게 탐색할 수 있도록 함.
전문성을 높이는 방식으로 콘텐츠 작성
- 각 주제별로 깊이 있는 콘텐츠를 작성하여 신뢰도를 확보.
- 주제별 필명(author)이나 전문가 기고 방식 도입.
도메인 및 브랜드 신뢰성 강화
- “모든 정보를 다루는 사이트”보다는 “특정 관심사를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사이트”처럼 포지셔닝하는 것이 좋음.
예: “건강과 라이프스타일” 같은 범주 안에서 다양한 주제를 다루는 방식.
구조화된 데이터 및 검색엔진 친화적 태그 활용
- Schema.org 마크업을 활용하여 검색엔진이 주제를 명확하게 이해하도록 도움.
백링크 및 SNS를 활용하여 신뢰도를 증명
- 권위 있는 사이트에서 백링크를 확보하면 여러 주제를 다루더라도 신뢰도를 유지할 수 있음.
결론
- 여러 주제를 다룬다고 해서 무조건 검색엔진 평가가 낮아지는 것은 아님.
- 사이트 구조를 명확하게 하고, 각 주제별로 깊이 있는 콘텐츠를 제공하면 충분히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있음.
- 단, 한 가지 주제를 깊이 있게 다루는 사이트가 특정 키워드 경쟁에서는 유리할 수 있음.
- 적절한 카테고리 분류와 SEO 전략을 활용하는 것이 중요함.
현재 운영 중인 사이트가 여러 주제를 다룬다면, 위의 SEO 최적화 전략을 적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사이트 구조를 명확히 한다는 것은 ?
그렇다면 사이트 구조를 명확히 한다는 것은 어떤 것일까요.
카테고리 분류만 잘 해 두면 되는 걸까요?
사이트 구조를 명확히 한다는 것은 카테고리 분류도 해당하지만, 검색엔진이 사이트의 콘텐츠를 효과적으로 이해하고 색인할 수 있도록 논리적인 계층 구조와 내부 링크 최적화를 적용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검색엔진이 사이트 구조를 이해하는 방법
검색엔진은 기본적으로 다음 요소를 통해 사이트 구조를 분석합니다.
- URL 구조 →
/category/topic-post
같은 계층적 URL 사용
- 내부 링크 구조 → 연관된 페이지끼리 내부 링크를 적절히 연결
- 사이트맵(XML Sitemap) → 검색엔진이 사이트의 페이지를 쉽게 크롤링하도록 도와줌
- Breadcrumbs(네비게이션) → 사용자와 검색엔진이 현재 위치를 이해하도록 지원
- Schema.org 마크업 → 특정 콘텐츠 유형(기사, 제품, 레시피 등)을 검색엔진이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함
명확한 사이트 구조를 만드는 방법
1) 논리적인 URL 구조
좋은 예 (카테고리와 관계를 반영)
example.com/health/diet-tips
example.com/tech/latest-smartphones
나쁜 예 (무작위 URL)
example.com/post1234
example.com/?p=4567
URL만 봐도 어떤 콘텐츠인지 알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인데, 가급적이면 slug 를 주제에 맞게 지정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2) 카테고리와 태그를 적절히 활용
- 카테고리는 **사이트의 주요 주제(메인 카테고리)**를 반영
- 태그는 **세부 주제(관련 키워드)**로 사용
예제:
example.com/health/
→ 건강 관련 글을 모음example.com/health/nutrition/
→ 영양 관련 글example.com/health/fitness/
→ 운동 관련 글
카테고리 간의 관계를 논리적으로 만들어야 합니다.
3) 내부 링크 최적화 (Silop 구조 적용 가능)
검색엔진은 내부 링크를 따라가며 사이트의 정보 구조를 학습합니다. 따라서 연관성이 높은 페이지끼리 내부 링크를 걸어줘야 합니다.
예제:
- “다이어트 팁” 글에서 “운동법” 관련 글로 내부 링크 제공
- “최신 스마트폰 리뷰” 글에서 “아이폰 vs 갤럭시 비교” 글로 내부 링크 제공
이렇게 하면 검색엔진이 이 사이트가 특정 주제에서 전문성이 있다고 판단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4) Breadcrumbs(네비게이션 목적 경로 표시) 사용
사용자가 현재 페이지의 계층 구조를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 기능입니다.
예제: 편집홈 > 건강 > 다이어트 > 저탄고지 식단
이렇게 표시하면 검색엔진도 해당 페이지가 건강 → 다이어트 → 특정 식단의 하위 구조임을 이해합니다.
5) Schema.org 마크업 적용
Schema.org 구조화 데이터를 적용하면, 검색엔진이 사이트의 정보를 더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 블로그 글:
Article
마크업 - 제품 리뷰:
Review
마크업 - FAQ 페이지:
FAQPage
마크업
이러한 마크업을 적용하면 검색 결과에서 리치 스니펫(별점, 이미지, 추가 정보 등)이 표시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이와 관련한 내용은 Rank Math SEO 와 같은 플러그인을 참고하면 되겠습니다.
결론
명확한 사이트 구조를 만든다는 것은 단순히 카테고리를 나눈다고 검색엔진이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사이트의 URL, 내부 링크, 구조화 데이터, Breadcrumbs 등을 활용해 검색엔진이 논리적 관계를 쉽게 이해하도록 만들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글 주소를 카테고리를 포함하는 방식으로 변경하면 도움이 될까요?
논리적인 URL 구조가 검색엔진과 사용자에게 사이트의 계층을 이해하는 데 유리하므로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그리고, 글 주소를 카테고리를 포함하는 형태로 주소 상에서 구조화 된 것을 표현하도록 하는 것은 아래 그림에서와 같이, 워드프레스 설정 메뉴에서 설정할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이미 운영 중인 사이트라면, 기존의 글이 검색엔진에 색인이 되어 있으므로 신중해야 할 것 같습니다. 기존에 검색되던 글들을 클릭하면 더 이상 없는 페이지라고 오류가 표시될 것이고, 방문자를 놓치게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기존 URL을 변경하면 발생할 수 있는 SEO 문제
운영 중인 사이트의 URL을 변경하면, 기존 URL이 사라졌다고 검색엔진이 인식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기존 페이지가 404 에러를 반환하고, 검색 순위가 하락할 위험이 있습니다.
- 색인된 기존 URL이 없어지면서 검색 노출 감소
- 기존 URL로 연결된 백링크가 끊어질 가능성
- 사용자가 기존 URL을 저장해둔 경우 404 에러 발생 가능
URL 변경 시 SEO 손실을 최소화하는 방법
1) 301 리디렉트 설정 (필수)
기존 URL을 새 URL로 리디렉트하면 검색엔진이 URL 변경을 인식하고 기존 SEO 신뢰도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방법: .htaccess
또는 functions.php
, 플러그인(Yoast SEO, Redirection 등) 활용
예제: .htaccess
에 301 리디렉트 적용
Redirect 301 /best-smartphone-2025 https://example.com/tech/best-smartphone-2025
이렇게 하면 기존 URL로 들어온 트래픽이 자동으로 새 URL로 이동하고, 검색엔진도 새로운 URL을 올바르게 인식할 수 있겠지만, 이미 작성된 글이 많다면 현실적으로 활용하기는 어려울 것 같습니다.
2) 사이트맵 업데이트 후 색인 요청
- 새로운 URL 구조로 XML 사이트맵을 다시 생성
- Google Search Console에서 새로운 사이트맵 제출
- 변경된 주요 페이지는 수동으로 “색인 생성 요청”
👉 검색엔진이 새로운 URL을 빠르게 크롤링하고 반영하도록 유도하기 위함
3) 내부 링크 및 외부 링크 점검
🔹 내부 링크를 모두 새로운 URL로 변경
🔹 백링크(외부에서 연결된 링크)는 가능한 경우 새로운 URL로 업데이트 요청
🔹 웹사이트 내 리디렉트 체인을 최소화하여 크롤링 효율을 유지
4) Google Search Console에서 404 에러 모니터링
URL 변경 후에는 Search Console의 색인 오류(404 페이지 포함)를 주기적으로 확인하고, 문제 발생 시 추가 리디렉트를 적용해야 합니다.
어느 정도 운영을 하고 있는 상태라면, 저라면 굳이 글 주소 형식을 바꾸지는 않을 것 같네요. 더 중요한 것은 “콘텐츠가 방문자에게 도움을 주는 것인가” 이기 때문이지요.
그러나, 카테고리 분류하고 Breadcrumb 를 추가하는 등 다른 작업들을 진행하는 것은 좋은 선택이 될 것 같습니다.